예술의 상상/un-frame

올덴버그-사이즈의 문제

유산균발효중 2011. 8. 2. 16:55


일상의 미학..류의 이야기들. 와닿지만 별로 적용하며 살지는 않는 예술계 내부의 담론.
어쩌면 올덴버그는 이를 잘 이용하고 애용하지 않았던가 싶다. 

일상의 사물이 주는 의미를 굳이 찾아야 하는가. 
너무 일상적인 것들은 숨쉬는 것처럼 의식할 수도 없게 함께 하고 있는 것을...

그렇다면 결국 사이즈의 문제. 
사이즈에 조금 더하고 싶은 것은 매체의 속성 vs. 대상이 되는 소재 - 이 둘 사이의 극명한 대비로 감각을 극대화 시키는 것.

예를 들어 여성의 속옷을 철망으로 만든다거나 단단하고 야무진 비올라를 흐물흐물 하게 만든다거나.


무엇보다 올덴버그 작품의 매력은 장소특정적. 공공미술적 성격을 가지고 있을때.
예를 들어 요런거.
눈이 오면 눈이 쌓이고 비가오면 비가쌓이는 숟가락.
어렸을때 눈을 숟가락을 퍼서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끔 했더랬는데 말이다. 


 




@덕수궁 미술관, <이것이 미국미술이다.(휘트니 미술관 전)>
작품들 중 나름 신선했던 중.오래전부터 실제로 보고싶었던 올덴버그 작품













BY DOUGLAS CRUICKSHANK 
| "I am for an art that is political-erotic-mystical, that does something else than sit on its ass in a museum." -- Claes Oldenburg, 1961


"The main reason for the colossal objects is the obvious one, to expand and intensify the presence of the vessel -- the object," Oldenburg has said. "Perhaps I am more a still-life painter -- using the city as a tablecloth." At another time he remarked, "Because my work is naturally non-meaningful, the meaning found in it will remain doubtful and inconsistent -- which is the way it should be. All that I care about is that, like any startling piece of nature, it should be capable of stimulating meaning.










더 많은 이미지들을 보려면 여기로 (이미지들의 출처이기도 함)
http://www.flickriver.com/groups/claes_oldenburg_and_coosje_van_bruggen/pool/interesting/ 

'예술의 상상 > un-fr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리코의 회화]신비  (0) 2011.08.10
[Joseph Beuys-The Multiples]  (0) 2011.08.08
Gerard Fromanger  (0) 2011.07.26
workers  (0) 2011.07.22
오름  (2) 2011.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