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의 언어로 된 영화를 본다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인물들의 대사를 제대로 듣지 못하게 만든다.
이런 이유 때문에(물론, 무의식적으로) 속도가 느린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 한국영화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바쁜 한국사회를 거슬러가는 그들의 연출은 어디로부터 기인한 것인지를 내심 궁금해하면서 말이다.
이들 중, 최근에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보고 이윤기의 영화중 미처 보지 못했던 <아주 특별한 손님>을 보았다.
영문 제목이 ad-rib night인데, 왠지 영화를 더 잘 표현한 것 같다.
여전히 이윤기표 우연한 마주침과 비어있는 공간이 매력적이다.
자신과 얼굴이 닮은 이의 방에 머물러 있게 된 주인공, 보경 혹은 명은.
그녀의 이름은 무엇이든 상관없다.
단지 하룻밤만 연기를 해주면 된다.
거기 모인 사람들 중 유일하게 그의 죽음 자체만을 본다.
그래서 가장 진정한 애도를 보낸다.
손님으로 온 명은은 어느 순간 그들의 가운데 있다.
마지막 순간에 명은 아버지에게 인사를 건내는 그 자리.
보경이 명은의 방에서 명은의 양말을 신었다가 벗는 문제의 장면
그리고 관조 혹은 동조하는 시선.
이런 이유 때문에(물론, 무의식적으로) 속도가 느린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 한국영화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바쁜 한국사회를 거슬러가는 그들의 연출은 어디로부터 기인한 것인지를 내심 궁금해하면서 말이다.
이들 중, 최근에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보고 이윤기의 영화중 미처 보지 못했던 <아주 특별한 손님>을 보았다.
영문 제목이 ad-rib night인데, 왠지 영화를 더 잘 표현한 것 같다.
여전히 이윤기표 우연한 마주침과 비어있는 공간이 매력적이다.
자신과 얼굴이 닮은 이의 방에 머물러 있게 된 주인공, 보경 혹은 명은.
그녀의 이름은 무엇이든 상관없다.
단지 하룻밤만 연기를 해주면 된다.
거기 모인 사람들 중 유일하게 그의 죽음 자체만을 본다.
그래서 가장 진정한 애도를 보낸다.
손님으로 온 명은은 어느 순간 그들의 가운데 있다.
마지막 순간에 명은 아버지에게 인사를 건내는 그 자리.
보경이 명은의 방에서 명은의 양말을 신었다가 벗는 문제의 장면
그리고 관조 혹은 동조하는 시선.
'예술의 상상 > para-scre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이대로가 좋아요 2009_부지영] (0) | 2011.05.20 |
---|---|
<실비아의 도시에서 찍은 사진들> <실비아의 도시에서>의 호세 루이스 게린 감독_씨네 21 기사 (0) | 2011.05.12 |
[JIFF 2011] 피니스테라에 (2) | 2011.05.10 |
[JIFF 2011] 실비아의 도시에서 (0) | 2011.05.08 |
[JIFF 2011_디지털 삼인삼색] 유운성 프로그래머의 글 (0) | 2011.05.07 |